주식을 하는 데 있어 기업을 분석하고 선별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 과정에서 PER, PBR, ROE라는 단어는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헷갈리더라도 알고 있으면 도움 되므로 오늘은 PER, PBR, ROE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용어 알아보기(PER, PBR, ROE)
PER
PER은 주가가 1주당 순이익의 몇 배인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 :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기업의 주식가격이 20,000원이고 1주당 수익이 2,000원이면, PER은 10이 됩니다. PER이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 PER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며 업종별로 평균 PER도 고려해봐야 합니다.
PER(rice Earning Ratio) =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 = 주가 / EPS
PBR
PBR은 주가순자산비율을 말하며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하여 나타낸 비율입니다. 예를 들어 휴대폰 시세가 100만 원인데 내가 150만 원을 주고 샀다면 PBR은 1.5배가 됩니다. PBR이 1 미만이라면 저평가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반대로 높으면 고평가 되어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단, PBR이 낮더라도 수익성이 좋지 않다면 투자할 가치가 떨어집니다.
PBR(Price Bookvalue Ratio) = 주가 / 주당 순자산가치
ROE
ROE는 자기 자본이익률을 말하며, 기업이 자기의 자본을 이용해 얼마나 수익을 올렸는지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타코야끼집을 2,000만 원 들여 차렸는데 1년간 1,000만 원의 수익을 올렸다면 ROE는 50%입니다. ROE가 높을수록 그 기업이 효율적으로 돈을 벌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단 ROE가 과하게 높다면 부채를 많이 썼을 수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ROE(Return On Equity) = (순이익 / 자기 자본) x 100
오늘은 헷갈리는 주식용어인 PER, PBR, ROE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주식투자에 있어 기업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주가가 순익대비 얼마나 높고, 주당 순자산에 비해 얼마나 높으며, 자기 자본 대비 얼마나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채권 ETF 알아보기 (단기, 중기, 장기) (0) | 2025.04.11 |
---|---|
GRID ETF란? AI 전력 수요 확대 (0) | 2025.01.21 |